이 글의 목표
- 도메인을 구매해서 AWS의 Route53에 등록을 할 것.
- 서브도메인을 사용해서 이벤트 페이지는 분리를 시킬 것.
- 서브도메인과 연결되는 페이지는 S3에 호스팅해서 CloudFront로 연결할 것.
- https 연결을 위한 ACM 인증서 발급할 것.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는 이유?
(쿠폰 발급 이벤트만 서브도메인에서 처리하는 이유)
많은 기업들이 이벤트나 특정 서비스는 서브도메인으로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식은 일반적인 사용법이다.
- 명확한 서비스 구분 → 이벤트 페이지를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
- SEO·마케팅 최적화 → 검색·광고 효과 극대화
- 트래픽 분산·성능 최적화 → 서버 부하 감소
- 독립적 운영 가능 → 배포·업데이트 유연성 증가
Route53 메인 도메인 생성
1. 호스팅 영역 생성 (메인 도메인 등록)



로 하려고 했는데 안된다함ㄷㄷ 왜? 내도메인 한국은 NS레코드 설정이 안되기 때문에! 그래서 가비아로 넘어감.
다시 가비아에서 생성한 도메인으로 위의처럼 만들어주면 된다.
가비아 도메인 관리
가비아에서 네임서버 등록


가비아에 NS레코드를 1차, 2차,3차,4차에 적용해준다.
. 마침표는 뗀다

서브도메인 등록을 하려고 했는데
우린 EC2에 프론트를 연결하는게 아니라 CloudFront를 연결해야됨
그래서 CloudFront먼저 하기로함
CloudFront를 할라면 S3가 필요해서 S3만들었다.
S3 - 버킷 생성
S3 버킷 만들기


버킷 생성

indtx.html이랑 error.html 업로드
권한설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CloudFront - 배포 생성

S3버킷을 연결한다.




ACM(AWS Certicate Manager) 인증서(메인도메인)


요청해놓고 다시 라우트53으로
Route 53 서브도메인 생성
1. 호스팅 영역 생성

- 메인 도메인이 example.com이라면 앞에 서브 도메인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ex. event.example.com)
- 쿠폰 발급 이벤트를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evnet를 앞에 붙여 진행했습니다.
메인에다가 서브도메인 NS값 등록
서브 도메인 호스팅 영역을 생성하면 위의 이미지가 같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메인 도메인 호스팅 영역에 서브 도메인 네임 서버를 등록해야합니다.

- 메인 도메인 호스팅 영역에서 레코드 생성을 클릭
- 레코드 이름에 서브 도메인 입력
- 레코드 유형은 네임서버 NS 선택
- 값에는 서브 도메인의 네임서버 라우팅 값 4개 입력 후 레코드 생성
하고 다시 서브도메인 ACM 인증서 발급받아야된다.
ACM(AWS Certicate Manager) 인증서(서브도메인)


했는데 부적격이 나왔다.

일단 도메인 이름을 수정했다.


메인도메인과, *.메인도메인(서브도메인)을 추가해준다.


여기서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레코드 생성을 누르면 Route53 메인도메인(ex) example.com레코드에 CNAME이 추가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발급 받은 인증서를 가지고, https로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T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디스크 용량 부족 문제 해결 방법 (1) | 2025.02.19 |
---|---|
AWS Certificate Manager(ACM)을 활용한 CloudFront HTTPS 적용 (0) | 2025.02.17 |
Jenkins을 이용하여 Docker Image를 ECR로 올리기 with Github, 퍼블릭 서브넷 (0) | 2025.02.14 |
Jenkins + GitHub 프라이빗 서브넷 환경, CI 구축의 어려움 (0) | 2025.02.14 |
[Ansible] lac를 통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2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