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발생

Disk space is below threshold of 1.00 GiB. Only 598.86 MiB out of 6.71 GiB left on /var/jenkins_home.
원인분석
디스크 용량이 부족한 이슈가 계속해서 발생한다..
원인을 찾아보기 위해 도커로 돌아가고 있는 젠킨스에 접속해보았다.
docker exec -it {jenkins container id} /bin/bash
/var/jenkins_home/ 의 용량이 부족하다고 하니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내용들을 확인 해보자.
cd /var/jenkins_home/
df -h

지금 용량이 92퍼가 사용중이다. 이러니 용량이 부족하다고 하지.
안쓰는 것들을 지워 보겠다.

효과가 없었다...

두번째는 효과가 있었다!

해결방법
Jenkins 서버의 /var/jenkins_home 디렉토리가 자주 디스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현재 EC2 인스턴스에 연결된 EBS 볼륨은 기본 8GB로 설정되어 있어, 용량 부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EBS 용량을 30-40GB로 확장하고, 새로운 볼륨을 적절히 마운트하여 충분한 저장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디스크 부족 문제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Jenkins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EC2 콘솔에 들어가서 스토리지 탭에서 사용중인 볼륨 확인
(먼저 수정을 하고 캡쳐해서 위 캡쳐상에서 현재 볼륨크기가 100으로 표시된다)

해당 볼륨으로 이동하여 수정을 눌러서
크기를 100기가로 크게 늘려줬다.
한 5분정도 기다리면 볼륨 상태가 정상으로 변한다.
ec2에 접속해서 새로운 크기 확인
sudo lsblk

sudo growpart /dev/nvme0n1 1
growp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nvme0n1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확장하겠다는 의미
sudo resize2fs /dev/nvme0n1p1
이제 위 명령어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확장 해주면 끝이다.
다시 한번 용량을 확인 해보면?

root의 avail 공간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젠킨스에 접속해봐도 기존에 뜨던 용량 경고가 사라지고
무한빌드에 갇히는 사태도 사라졌다.
ec2 이사를 가야하나 고민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스토리지 용량을 올려주는 것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IT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Bastion 서버와 Aurora 데이터베이스 연동 설정 (0) | 2025.02.24 |
---|---|
[Terraform] 테라폼으로 AWS Elasticache(redis) Cluster 모드로 생성하기 (0) | 2025.02.19 |
AWS Certificate Manager(ACM)을 활용한 CloudFront HTTPS 적용 (0) | 2025.02.17 |
서브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 Route 53, CloudFront, S3, ACM 설정하기 (0) | 2025.02.17 |
Jenkins을 이용하여 Docker Image를 ECR로 올리기 with Github, 퍼블릭 서브넷 (0) | 2025.02.14 |